-
아이들의 독서습관은 어떻게 만들어줄까요자녀이야기 2020. 3. 29. 17:43반응형
부모님이라면 내 아이가 책읽기를 좋아했으면 하는 마음이 있을것입니다.
물론 저도 아이가 책을 잘 읽고 많이 읽었으면 하는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책을 읽으면 많은 배경지식이 쌓여서 시간이 지날수록 공부도 잘 하고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잘 표현한다고 많은 분들이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이 좋은 독서를 부모들은 알고 있지만 막상 책을 읽을 아이들은 잘 모르는게 사실이기도 합니다.
워낙 스마트폰과 유튜브를 어릴때부터 보기 때문에 책을 읽는 것보다 영상을 보는것이 익숙한 요즘 아이들입니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고 재밌게 읽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소리내어 부모가 읽어주세요
한글을 읽지 못하는 아이들은 부모님이 책을 읽어줍니다.
그리고 초등학생이 되면 혼자서 글을 읽을 줄 알기 때문에 "책 읽었니?" "책 00권 읽어" 라며 지시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초등학생 저학년 경우에는 글을 읽을줄만 알뿐 책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아이는 혼자 읽기보다 부모님이 읽어주는 것을 좋아합니다.
물론 부모가 모든 책을 다 읽어주기는 힘듭니다.
부모님이 책을 읽어준다는 것은 단순히 글만 읽어주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낸다는 것에 더 큰 의미를 두었으면 좋겠습니다.
책을 아이와 번갈아가며 읽고 내용에 대해 질문하고 답을 합니다.
그러는 과정에서 이야기를 잘 이해하고 있는지, 자신의 생각을 잘 표현할수 있는지 등 내 아이에 대해 깊이 알수 있는 시간을 가지는 것입니다.
2. 교과서 내용과 관련된 책을 읽기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에는 동화책을 많이 읽습니다.
그러나 초등학생이 되면 동화책, 글책보다는 학습만화책을 많이 읽게 됩니다.
학습만화책은 그림이 많고 글이 적어서 아이가 읽기 편하고 재밌는 책이 된겁니다.
근데 문제는 학습만화책을 많이 읽다보면 글밥있는 책을 읽기 어려워하고 싫어하게 됩니다.
이런 부분을 부모님이 살펴보고 세심하게 챙겨주면 좋겠습니다.
글밥책도 종류가 너무 많아서 부모님이 고르기 힘드니 우선은 교과내용과 관련된 책을 읽을수 있게 합니다.
관련도서를 읽게 되면 학교수업을 할때 한번 더 책내용을 듣게 되니 익숙해져서 책을 어렵지 않게 읽을수 있을 것입니다.
3. 가족과 함께 읽기
아이에게 책을 읽으라고 하고 부모는 텔레비전을 보거나 게임을 하고 있으면 아이도 책읽는 것이 힘들것입니다.
그러니 아이가 책을 읽기 원하면 부모도 아이옆에서 같이 책을 읽어주세요.
아이가 스스로 책을 읽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엄마, 아빠가 책을 읽고 독서하는 분위기가 조성되면 아이도 어느 순간 책을 들고 옆에 앉게 될것입니다.
저녁시간 또는 주말에 가족끼리 책읽는 시간을 정해두는 것도 좋습니다.
처음에는 힘들겠지만 한달 두달 꾸준히 한다면 아이들도 당연히 그 시간을 가족과 함께 책읽는 시간으로 인지하게 될것입니다.
4. 하루에 5~10분 짧게 독서하기
어릴때부터 책을 많이 접하지 않은 아이가 초등학생이 된 후 책을 읽으려면 쉽지가 않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짧은 시간이라도 꾸준히 책을 보는 습관을 만들어주는게 좋습니다.
한번에 많이 읽는 것보다 하루에 5분이나 10분정도의 짧은 시간을 읽게 해줍니다.
지금은 책내용을 아는 것보다 책을 손에 쥔다는 것에 의미를 갖고 부담없이 보는 것으로 시작을 합니다.
매일매일 꾸준히 하다보면 아이가 좋아하는 책이나 내용을 만나게 되어 책의 재미를 느낄수 있을것입니다.
오랜 시간 보라고 하면 힘들어하니 너무 욕심 부리지 않고 짧은 시간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우리 아이들이 책을 재미있어하고 잘 읽을수 있는 독서습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처음부터 너무 무리하지 않고 천천히 책과 친해질수 있도록 해준다면 아이가 스스로 책을 읽고 책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만날수 있을것입니다.
반응형'자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온라인 수업 잘 듣고 있으세요? (0) 2020.03.31 ebs 2주 라이브 특강 3.23 ~ 4.3까지 _ 수업시간 안내 (0) 2020.03.30 아이의 감정표현 배우기 - 아홉살 마음사전 (0) 2020.03.28 사춘기 자녀와 대화하는 법 (0) 2020.03.26 초등 독서록 쓰는 법 4가지 (0) 2020.03.25